본문 바로가기
주식

원-달러 환율

by 불꽃 자두맛사탕 2023. 9. 9.
728x90
반응형
1. 환율이란?

우리는 대한민국에 살면서 애플의 스마트 폰, 테슬라의 전기차, 아프리카 또는 남미의 커피 등 다양한 물건들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미국, 중국, 일본 등 다양한 나라들과 금융거래를 한다.

하지만 각각의 나라마다 사용하고 있는 화폐가 있고 그 화폐마다 가치가 다 다를 것이다. 그러면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다.

환율이란 한마디로 우리가 상대국 통화와 교환을 할 때 기준이 되는 교환비율이다. 환율은 수출과 물가 등 거시경제 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.

 

2. 원-달러 환율

 

사용하는 통화(달러, 유로, 위안, 엔화)마다 비율이 있지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통화도 대부분 미 달러 기준으로 표시를 한다.

기축통화이면서 안전자산으로 손꼽히고 있는 월-달러 환율에 대해서 알아보자. 최근 원-달러 환율이 1337(9.8기준)으로 2022930(1,445)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최근 한달세 6%가량 증가했다.

 

·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이유는 높은 미국 기준금리, 글로벌 달러화 강세,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안전통화 선호, 무역수지 적자 폭 확대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기 때문이다.

최근 중국 경기의 하락세와 맞물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위안화 약세를 보였고 유로존 또한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부담이 커져 대출 및 투자 수요가 위축되고 있다.

이런 상황 속에서 안전자산으로서 선호가 높아지면서 연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달러 수요가 많아지게 되었다.

 

3. 우리나라 환율제도 

  ㅇ 고정환율제도(1945.10-1964.5) : 한국은행이 공정환율을 결정, 고시했으며, 복수환율제와 단일환율제를 번갈아 시행

  ㅇ 단일변동환율제도(1964.5-1980.2) : 기준환율의 상하 2%범위 내 한국은행이 매일 환율을 결정

  ㅇ 복수통환바스켓제도(1990.3-1997.12) : 미달러화를 포함한 주요 교역상대국 통화의 가치변동에 원화 환율 연동

  ㅇ 시장평균환율제도(1990.3-1997.12) : 외국환중개회사가 은행간 거래의 가중평균환율을 익영업일의 기준환율로 정하        고 상하 일정범위 내에서만 변동하도록 허용 

  ㅇ 자유변동환율제도(1997.12-현재) : 외환수급에 의해 은행간 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

 

4. 원- 달러 투자

개인들도 외화예금이나 적금의 방식으로 투자를 하기도 한다.

또한 국내 주식시장에 상당된 달러ETF를 통해 개별종목을 사고 팔기도 하지만 최근에는 미국주식을 직접 거래하면서 투자수익에다 환차익까지 얻을 수 있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.

하지만 외환시장은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원-달러 환율흐름을 놓치지 말고 파악을 해야한다.

 

 

반응형